태원 선우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원 선우씨는 기자조선의 기자 후손으로 전해지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고종 때 중서주서를 지낸 선우정이며, 중시조는 조선 중기의 학자 선우협이다. 본관은 기자(箕子)가 식읍(食邑)을 하사받은 태원(太原)이며,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4명, 사마시 10명을 배출했으며, 청주 한씨, 행주 기씨와 이성동본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원 선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타이위안시 |
관련 인물 | 선우은숙 선우재덕 선우휘 선우진 |
가문 정보 | |
가문명 | 태원 선우씨 |
가문 종류 | 씨족 |
국가 | 조선 |
영지 | 타이위안시 |
가조 | 선우정 |
저명한 인물 | 선우순、선우휘、선우련、선우중호 |
씨족 정보 | |
성씨 | 태원 선우씨 太原鮮于氏 |
나라 | 한국 |
관향 | 태원시 |
시조 | 선우정(鮮于靖) |
중시조 | 선우협(鮮于浹) |
집성촌 | 평안남도 대동군 평안북도 창성군 평안북도 태천군 충청남도 공주시 |
인물 | 선우협, 선우일, 선우혁, 선우순, 선우갑, 선우영빈, 선우휘, 선우진, 선우진, 선우련, 선우종원, 선우중호, 선우경식, 선우재덕, 선우은숙 |
년도 | 2000 |
인구 | 3,560명 |
순위 | 632 |
2. 역사
태원 선우씨의 시조는 기자로 알려져 있다. 기자는 주나라 무왕 때 기자조선을 세웠고, 그의 아들 기송과 기중을 통해 선우씨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기자가 식읍으로 하사받은 태원(太原)을 본관으로 삼았다.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긴 후, 기준의 후손들은 평안남도 룡강군 오석산(烏石山)에 정착하여 황룡(黃龍)이라는 나라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기병(箕柄) 대에 고구려에 멸망하여 서민으로 세계를 이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상계(上系)는 고증할 문헌이 없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고려 고종 때 중서주서(中書注書)를 지낸 '''선우정'''(鮮于靖)을 1세조로 한다.
조선 중기 학자인 '''선우협'''(鮮于浹)은 평안도 태천 출신으로, 도산서원에서 이황의 장서를 열람하고 장현광에게 학문을 질문하는 등 학문에 정진하였다.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으며, 여러 관직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심성이기(心性理氣)와 『주역』에 통달하였고, 김집과 학문적 토론을 나누며 '관서부자(關西夫子)'로 존경받았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평양 용곡서원(龍谷書院)과 태천 돈암서원(遯菴書院)에 제향되었다.
2. 1. 기원
비조(鼻祖) 기자(箕子)는 주나라 무왕 때 기자조선을 세웠고, 그의 맏아들 기송(箕松)이 2대 장혜왕(莊惠王)으로 즉위하면서 아우인 기중(箕仲)을 우산국(于山國)에 봉하여 나라를 세웠다고 한다. 이때 조선의 '선(鮮)' 자와 우(于) 자를 따서 선우씨(鮮于氏)로 삼았다고 한다. 기자가 식읍(食邑)을 하사받은 태원(太原)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기준이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천하여 금마군(金馬郡)에 나라를 세워 마한(馬韓)이라 칭했으나 백제에게 나라를 빼앗겼다고 한다. 이후 8대 원왕(元王)의 아들 기양(箕諒)이 평안남도 룡강군 오석산(烏石山)으로 들어가 성을 쌓고 창도(創都)하여 나라를 황룡(黃龍)이라 하며 세계를 이어왔다고 한다. 기양의 10세손 기병(箕柄)이 고구려에 나라를 빼앗겨 서민(庶民)으로 세계를 이어왔다고 한다.그러나 상계(上系)를 고증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세계가 명확하지 못하여 고려 고종 때 중서주서(中書注書)를 지낸 '''선우정'''(鮮于靖)을 1세조로 한다.
2. 2. 고려 시대
상계(上系)를 고증할 문헌이 전하지 않아 고려 고종 때 중서주서(中書注書)를 지낸 '''선우정'''(鮮于靖)을 1세조로 한다.2. 3. 조선 시대
조선 중기의 학자 '''선우협'''(鮮于浹, 1588년 ~ 1653년)은 자는 중윤(仲潤), 호는 돈암(遯菴)이며, 평안도 태천(泰川) 출신이다. 아버지는 숭인전감(崇仁殿監) 선우식(寔)이며,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李氏)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억수(億壽)의 딸이다. 38세에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찾아가 이황(李滉)이 남긴 장서 수백권을 열람하고 돌아오는 길에 장현광(張顯光)을 찾아가 학문을 질문하였다. 그 뒤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랐으며, 일생동안 후진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1]1628년(인조 6) 학행으로 사직참봉(社稷參奉)에 임명된 것을 비롯,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성균관사업(成均館司業) 등에 여러 차례 천거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치심궁리(治心窮理)와 입현무방(立賢無方)의 도를 내용으로 하는 상소문을 올려 시행하게 하기도 하였다. 심성이기(心性理氣)를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주역』에 통달하였다. 당대의 석학 김집(金集)과도 학문적인 토론을 교환하였으며, 세상사람들이 관서부자(關西夫子)라 칭하여 존경하였다.[1]
1883년(고종 20)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평양의 용곡서원(龍谷書院)과 태천의 돈암서원(遯菴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저서로는 『돈암전서』 7권 5책이 있다.[1]
3. 본관
본관은 기자조선을 세운 기자의 출신지인 태원이다. 태원은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산서성(山西省) 타이위안이다.
4. 인물
태원 선우씨 본관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은 다음과 같다.
4. 1. 역사 속 인물
4. 2. 현대 인물
5. 과거 급제자
태원 선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 사마시 10명(생원시 5명, 진사시 5명)을 배출하였다.
- 문과: 선우석, 선우승, 선우업, 선우헌
- 생원시: 선우렴, 선우상, 선우숙, 선우주, 선우항
- 진사시: 선우각, 선우수, 선우억, 선우연, 선우철
- 음관: 선우석, 선우승, 선우업, 선우헌
5. 1. 문과
이름 |
---|
선우석 |
선우승 |
선우업 |
선우헌 |
5. 2. 생원시
태원 선우씨는 조선시대에 생원시 합격자 5명을 배출하였다.이름 |
---|
선우렴 |
선우상 |
선우숙 |
선우주 |
선우항 |
5. 3. 진사시
인물 |
---|
선우각 |
선우수 |
선우억 |
선우연 |
선우철 |
5. 4. 음관
이름 |
---|
선우석 |
선우승 |
선우업 |
선우헌 |
6. 집성촌
1930년 국세조사 당시 태원 선우씨의 80%는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대규모의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었다.[6] 2000년에는 1,100가구 3,547명으로 조사되었다.[6]
태원 선우씨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6]
7. 인구
태원 선우씨는 1930년 국세조사 당시 80%가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대규모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었다.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1985년 | 734가구 | 2,929명 |
2000년 | 1,100가구 | 3,547명 |
8. 이성동본
9. 항렬표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태원선우씨 太原鮮于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5-00 #dead link 날짜를 월까지만 표시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00-00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1
[4]
뉴스
충북의 성씨를 찾아서(48)태원선우씨(太原鮮于氏)
https://www.ccdailyn[...]
2013-03-07
[5]
웹사이트
유래
http://www.hjkee.com[...]
2022-09-05
[6]
웹사이트
선우씨(鮮于氏) 본관(本貫) 태원(太原)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